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회화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王世子誕降陳賀圖屛風

  • 유물번호

    창덕6407
  • 연대

    1874년
  • 재질

    비단에 채색
  • 크기(cm)

    가로: 43.5cm, 세로: 269cm
  • 지정현황

    보물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왕세자탄강진하도 병풍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왕세자(순종, 18741926)가 태어난 것을 축하 하기 위하여 그린 궁중행사도이다.
1874
(고종 11) 214일에 창덕궁 인정전에서 거행한 진하례(陳賀禮) 의식 광경을 그렸다. 전체 10폭으로 구성되었는데, 가운데 8폭은 진하례 광경을, 좌우 양쪽의 끝폭에는 출산을 담당했던 산실청(産室廳) 관원들의 좌목과 성명을 적었다
진하례가 열리고 있는 창덕궁 인정전을 중심에 배치하고, 양쪽 옆으로 주변의 다른 건물들과 나무, 산봉우리 등을 그렸으며, 각 인물들과 건물 등이 모두 짙은 색채로 섬세하게 묘사되고 있다. 진하례 광경은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부감법(俯瞰法)을 사용하여 그리고, 인정전 건물의 기둥과 벽면을 훨씬 높게 표현하여 실내에서 일어나는 행사를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왕세자
창덕궁 인정전 세부


관련 소장품 : 왕세자두후평복진하도 병풍(王世子痘侯康復祝賀圖屛風) 창덕6408. 1879년(고종 16) 12월 28일에 왕세자(순종)가 천연두에서 회복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 진하(陳賀) 의식 장면을 그린 궁중행사도이다. 전체 8폭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폭은 서문, 제2폭~제7폭까지 두 개의 행사 장면을 그렸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