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품 안내
-
효종실록 권20 오대산사고본 효종실록 권20으로 효종 9년 정월부터 12월까지의 기록이 담긴 1책이다. 검은색 쌍변을 갖춘 변란 안에 책 제목을 목판에 새겨 종이에 찍었고 제목 아래 권차를 묵서했...
-
대전회통 권삼 1865년에 조두순(趙斗淳, 1796~1870년)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조선의 마지막 법전이다. 조선전기의 『경국대전』 및 역대 법전과 『대전통편(大典通編)』 이후의 교명(敎命...
-
면암선생문집 한말의 유학자 최익현(崔益鉉, 1833~1906년)의 문집이다. 그는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배웠고, 23세에 명경과에 급제한 후 승문원 부정자로 관직을 시작하였다...
-
연려실기술별집 이긍익(李肯翊, 1736~1806년)이 조선의 역사를 기사본말체로 엮은 야사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의 별집으로 필사본 19책 중 2책 결본이다. 『연려실기술』은 원집(原集)∙속...
-
간이문집 문장가 최립(崔岦, 1539~1612년)의 시문집으로 그의 사후 조정에서 간행하였다. 최립의 자는 입지(立之), 호는 간이(簡易)로,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561년 ...
-
지천선생집 병자호란 당시 주화파(主和派)의 거두였던 지천(遲川) 최명길(崔鳴吉, 1586~1647년)의 시문집으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며, 총 8책 중 1책이 결락된 7책 결본이다. 국외 반...
-
지호집 조선 후기 문신인 이선(李選, 1632~1692년)의 시문집으로 13권 6책 완질이다. 조두순(趙斗淳)의 서문에 따라 문집의 발간시기가 1856년임을 알 수 있다. 국외 반출되었다...
-
송운대사표충록 임진왜란때의 의병장인 사명대사(四溟大師) 유정(惟政, 1544~1610년)의 기록을 모아 놓은 것으로, 대사의 5대 법손인 남붕(南鵬) 등이 편찬했다. 목판본 1책 완질이며 제작시...
-
생육신선생집 1832년(순조 32) 조기영(趙基永)이 이맹전(李孟專, 1392~1480년), 조려(趙旅, 1420~1489년), 김시습(金時習, 1435~1493년), 남효온(南孝溫, 1454...
-
낙전당집 신익성(申翊聖, 1588~1644년)의 시문집으로 금속활자인 한구자로 간행한 7책 완질본이다. 책 앞부분의 이민구(李敏求)의 서문에 따르면 신익성 생전에 아들 신면(申冕)과 신최(...
-
철성연방집 고성 이씨의 고려조 공민왕 때의 행촌(杏村) 이암(李嵒), 평재(平齋) 이강(李岡), 조선 세종 때의 용헌(容軒) 이원(李原), 망헌(忘軒) 이위(李胃)의 글을 모아서 편찬한 문집...
-
계원필경집 신라의 대문장가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 857년~?)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중국에서 지었던 시문을 정리하여 엮은 책으로 20권 4책 완질본이다. 최치원은 당에서 급제한 이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