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
백자태항아리 조선왕실은 태어난 아이의 태를 갈무리하여 그 아기의 장수와 복을 비는 독특한 안태문화를 가졌다. 태를 넣은 항아리가 태항아리이다. 백자항아리로 어깨에서 아래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
-
백자태항아리 조선왕실은 태어난 아이의 태를 갈무리하여 그 아기의 장수와 복을 비는 독특한 안태문화를 가졌다. 태를 넣은 항아리가 태항아리이다. 백자항아리로 어깨에서 아래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
-
백자산수무늬고리모양연적 가운데 구멍이 뚫린 고리모양의 백자청화연적이다. 윗면은 평평하고 몸체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저부는 사선을 이루며 굽에 이른다. 연적 윗면에 입수구(入水口)를 측면에는 출수구(出...
-
백자산수무늬고리모양연적 가운데 구멍이 뚫린 고리모양의 백자청화연적이다. 윗면은 평평하고 몸체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저부는 사선을 이루며 굽에 이른다. 연적 윗면에 입수구(入水口)를 측면에는 출수구(出...
-
백자산수무늬고리모양연적 가운데 구멍이 뚫린 고리모양의 백자청화연적이다. 윗면은 평평하고 몸체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으며 저부는 사선을 이루며 굽에 이른다. 연적 윗면에 입수구(入水口)를 측면에는 출수구(出...
-
백자청화천, 일, 생, 수자 국화무늬팔각연적 측면을 팔각으로 면깎기한 백자청화연적이다. 윗면은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며, 측면은 각면을 이루다가 저부에서 사선으로 꺾여 굽에 이른다. 윗면 중앙에 구멍을 뚫어 입수구(入水口)를 ...
-
금박초자3폭가리개 상단에는 유리가 하단에는 자수가 장식되어 있는 3폭 가리개이다. 가리개 틀은 금칠이 되어 있고, 꼬임 장식이 있으며, 상단은 곡선으로 되어있다. 상단에는 유리가 끼워져 있고, 하단...
-
화류화조도수병풍 다양한 새와 동물이 꽃나무를 배경으로 노닐고 있는 모습을 수놓은 8폭 병풍이다. 병풍틀은 자단목(紫檀木)에 박쥐와 모란 문양 등을 투각하고 꽃 문양 나전을 부착하여 장식하였다. 그...
-
초헌 조선시대 종2품 이상의 관리가 타던 수레이다. 전체적으로 흑색 바탕이다. 교의 받침대 아래로는 들채, 위로는 교의를 안치하고 좌석에 돗자리를 깔았다. 그 앞에 발 받침대를 두었다....
-
좌독기 사각기로 제작된 좌독기(坐纛旗)이다. 흑색 직물 바탕에는 태극을 중심으로 팔괘와 중국 하나라 우임금이 낙수(洛水)에서 얻었다는 낙서(洛書)를 백색, 홍색 직물을 재단하여 붙였다. ...
-
황룡기 국왕의 의장에 사용되던 오방기 중 하나인 황룡기(黃龍旗)이다. 황색 직물 바탕에는 네 개의 발톱을 갖춘 황룡 두 마리가 여의주를 사이에 두고, 각각 상하로 몸체가 향하도록 묘사되었...
-
평형저울 양쪽에 황동접시가 달린 평형저울이다. 수평봉 중앙은 저울이 상하로 움직이며 평형을 이루도록 고정시켰다. 그 위로 고정봉이 있으며 고정봉 위쪽에 둥근 고리가 있고 수직을 가늠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