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의궤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純宗純貞孝皇后 嘉禮都監儀軌

  • 유물번호

    고궁2705
  • 연대

    1906년
  • 재질

    종이
  • 크기(cm)

    가로: 32.2cm, 세로: 44.8cm
  • 지정현황

    보물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906년 황태자였던순종(純宗, 1874~1926)과 순정효황후(純貞孝皇后, 1894~1966)의 혼례에 대한 내용을 기록한 의궤이다. 순종은 1882년(고종 19)과 1906년(광무 10) 두 차례에 혼례를 했다. 순종은 1882년 왕세자 시절 당시 10살이었던 순명효황후(純明孝皇后1872~1904)와 첫번째 혼례를 치렀다. 그러나 1904년 황태자비가 사망하자 1906년에 순정효황후를 두번째 황태자비로 맞아들였다.
이 의궤는 대한제국기에 작성된 유일한 가례도감의궤로, 대한제국 선포 이후 황제국에 걸맞게 의례에 변화가 있었지만, 여전히 조선 왕실의 전통과 전례를 따르고 있다. 이 의궤에는 소요재정, 투입 인원, 도식, 반차도 등이 기록되어 있다. 삼방의궤(三房儀軌)도식(圖式)’을 살펴보면 금책(金冊)의 경우, 홍운문한단(紅雲文漢緞) 네 끝에 금전지(金箋紙)를 갖춘 솜보자기로 싸고 끈으로 묶은 뒤, 주홍칠 바탕에 쌍반룡문(雙盤龍文)이 그려진 내·외궤에 담았다. 이를 통해 혼례품을 포장하는 데 정성을 들였던 전통이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해제정보 바로가기

순종 사진, 순정효황후 사진, 반차도 세부,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도식 중 금책, 순종순정효황후 가례도감의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