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정충장공실기
정충장공실기
정충장공실기
정충장공실기
정충장공실기

전적

정충장공실기

鄭忠壯公實紀

  • 유물번호

    고궁412
  • 연대

    가로: 20.8, 세로: 32.4
  • 재질

  • 크기(cm)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정충장공실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건(乾)1책(冊), 목활자본(木活字本). 선조(宣祖) 때의 무신(武臣) 정운(鄭運, 1543∼1592)의 문집이다. 표제는 정충장공문집(鄭忠壯公文集)이며 표제 아래에 책수(冊數)를 나타내는 건(乾)자가묵서되어 있다. 처음에 1795년[乙卯十二月五日]에 행서(行書)로 쓴 정조(正祖)의 어필이 한 쪽에 6자씩 24장에 걸쳐 배치되고, 다음으로 서문(序文), 목록, 세계(世系), 연보(年譜)가 수록되었으며 이어서 본전(本傳)이 시작된다. 정운의 8대손 희(熺)가 1866년(고종3) 편찬했으며 9대손 재천(在天)이 교정(校正)하였다. 1846(헌종12) 5월 하지에[崇禎紀元後四丙午夏至日] 당성(唐城) 홍직필(洪直弼)이 서문을 썼다. 서문 전체와 본전의 앞부분에 구결이 첨서되었다. 정운의 자(字)는 창진(昌辰),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영암(靈巖) 출신이다. 1570년(선조3) 무과에 급제하여, 1591년에  녹도만호(鹿島萬戶)가 되고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순신(李舜臣) 휘하에서 활약하였으며, 부산포 해전에서 우부장(右部將)으로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