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어제병학지남
어제병학지남

전적

어제병학지남

御製兵學指南

  • 유물번호

    고궁394
  • 연대

    1787년
  • 재질

    지 / 기타
  • 크기(cm)

    가로: 22.9, 세로: 33

첨부파일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어제병학지남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중국 명(明)나라의 명장(名將)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기효신서(紀效新書)18편 중 ‘조련법(操鍊法)’을 간추려 엮은 책이다. 훈국(訓局)에 있는 구본(舊本)에 약간의 脫誤處가 있는 것을 정조(正祖)가 제신(諸臣)들에게 명하여 1787년(정조11)에 목판본 5권(卷) 1책(冊)으로 간행하였다. 권(卷)1∼2는 한글로 대역(對譯)하였는데, 역문(譯文)은 원문(原文)보다 한 호수(號數) 낮은 활자로 썼다. 책 처음에는 정조의 서문(序文)과 이유경(李儒敬)의 범례(凡例)가 있고, 권말(卷末)에는 '丁未新刊(1787)…壯營藏板'이라는 간기(刊記)가 있다. 내용은 권(卷)1에 기고정법(旗鼓定法), 기고총결(旗鼓總訣), 권(卷)2에 영진정곡(營陣正穀), 권(卷)3에 영진총도(營陣總圖) 상(上)편, 권(卷)4에 영진총도 하(下)편, 권(卷)5에 장조정식(場操程式), 성조정식(城操程式), 수조정식(水操程式)이 있다. 본책은 군대의 조련, 부대배치, 진법, 행군, 호령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되어 있고, 특히 도면(圖面)까지 실려있어 직업군인이나 군사전문가들에게 재래의 전법(戰法)을 아는데 좋은 참고서적(參考書籍)이 되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