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전적
어정규장전운
御定奎章全韻
-
유물번호
고궁126 -
연대
19세기 -
재질
지 / 기타 -
크기(cm)
가로: 16.2, 세로: 25.3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어정규장전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1책(冊), 90장(張), 목판본(木板本). 어정규장전운(御定奎章全韻)은 정조(正祖)가 규장각(奎章閣)의 제신(諸臣)에게 명(命)하여 편찬한 운서(韻書)로 1796년(정조20)에 간행되었다. 이덕무(李德懋:1741~93)가 편찬하고 윤행임(尹行恁)·서영보(徐榮輔)·남공철(南公轍) 등이 교정하였다. 한시(漢詩)를 짓는 데 꼭 필요한 사전으로 널리 보급되었다. 앞표지 안쪽에는 내사기(內賜記)가 있다. 만자문(卍字文)이 새겨진 황색 표지에 홍색 끈으로 장정되었으며, 앞표지 좌측에는 "전운(全韻)"이라는 서명이 묵서되어 있고, 우측에는 "내사(內賜)"라고 쓰여 있고, 그 아래에는 金씨 성을 가진 사람의 성명이 기록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름은 인위적으로 지워진 흔적이 있다. 그 위에는 원형 인장 2개가 주색으로 날인되어 있다. 앞표지 안쪽에 광서(光緖) 20년(1894년) 2월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金丙喜에게 규장전운 1건을 하사한다는 내용이 묵서되어 있다. 본문 첫 번째 면에 "규장지보(奎章之寶)"가 날인되어 있으며 인영을 덮어 가리기 위한 사각형의 흰색 종이가 붙어 있다. 본문은 "어정규장전운의궤(御定奎章全韻儀禮)", "어정규장전운부목(御定奎章全韻部目)", "어정규장전운상(御定奎章全韻上)", "어정규장전운하(御定奎章全韻下)"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정규장전운상(御定奎章全韻上)"이 시작되는 면에 방형 인장이 주색으로 날인되어 있다. 내지 상단의 여백에 글자가 1자씩 묵서된 곳도 있다. 뒷표지에 "규장전운(奎章全韻)"이라는 서명과 "내사(內賜)"라는 글자가 묵서되어 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