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품 안내
기타
화조수
花鳥繡
-
유물번호
창덕7964-5 , 6 -
연대
조선 -
재질
사직 / 견 -
크기(cm)
창덕7964-5 가로: 40.2, 세로: 164.8 / 창덕7964-6 가로: 39.5, 세로: 161.2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화조수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창덕7964-5: 장방형(長方形) 견직물 바탕의 화조수(花鳥繡)이다. 석류와 꽃, 새를 수(繡) 놓았다. 견직물 뒷면은 한지로 배접되어 있어 화훼도 자수병풍을 만들고자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석류 문양은 다손(多孫)과 다남(多男)을 상징하며 활옷 등 궁중복식 및 혼수(婚需), 침구(寢具) 등에서도 자주 쓰이는 문양이다.
창덕7964-6: 장방형(長方形) 견직물 바탕의 초충수(草蟲繡)이다. 꽃과 나비를 수(繡) 놓았다. 견직물 뒷면은 한지로 배접되어 있어 화훼도 자수병풍을 만들고자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나비 문양은 즐거움과 행복 및 장수를 상징하며 활옷 등 궁중복식 및 생활기물 등에서도 자주 쓰이는 문양이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