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의상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
-
유물번호
(홍장삼) 고궁3658 (대대) 고궁3659 -
연대
조선 -
재질
사직/ 견 -
크기(cm)
(홍장삼) 뒷길이: 128.5cm, 앞길이: 115.5cm, 화장: 92.8cm, 품: 38.2cm, 진동: 22.8cm (대대) 길이: 330.5cm, 너비: 5.7cm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복온공주가 홍장삼과 대대」는 조선 제23대 왕 순조(純祖)의 둘째 딸 복온공주(福溫公主, 1818~1832)의 홍장삼에서 유래한 유물로서, 왕실 기록 속 홍장삼의 실체를 보여주는 유일한 예로 조선왕실 복식문화 연구에 있어 사료적·학술적 가치가 높다. 정교하고 화사한 자수가 특징인 ‘홍장삼’은 공주·옹주 등 조선 왕실 여성의 혼례복으로 왕실 기록에서 그 명칭과 용도가 확인되며, 현존하는 왕실 복식 수본(繡本)에서 홍장삼의 형태상 특징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대대’는 홍장삼 착용 시 가슴 부분에 두르는 폭이 좁고 긴 띠로서 봉황문을 부금(付金)하여 장식하였다.
창녕위(昌寧尉) 김병주(金炳疇, 1819~1853) 집안에 전해 내려온 것으로, 복온공주가 1830년 김병주와 가례(嘉禮)를 올릴 때 혼례복으로 착용했다고 알려져 왔다. 20세기에 이르기까지 후손들이 혼례용으로 착용하는 과정에서 수선에 따른 형태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옷의 형태와 구성법, 직물 규격, 자수 문양 등 현재 모습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형태로 볼 수 있으나, 유물의 유래와 전승 과정이 명확하고 조선 후기 공주 가례에 사용된 홍장삼의 무늬와 자수 기법, 직물 종류, 색상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다양한 문양과 장식 기법이 적용되었음에도 조형적으로 균형과 안정감이 있고 궁중 자수의 아름다운 도안과 색상, 고도의 자수 기술을 확인할 수 있어 공예적 가치 또한 크다.
창녕위(昌寧尉) 김병주(金炳疇, 1819~1853) 집안에 전해 내려온 것으로, 복온공주가 1830년 김병주와 가례(嘉禮)를 올릴 때 혼례복으로 착용했다고 알려져 왔다. 20세기에 이르기까지 후손들이 혼례용으로 착용하는 과정에서 수선에 따른 형태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며, 옷의 형태와 구성법, 직물 규격, 자수 문양 등 현재 모습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형태로 볼 수 있으나, 유물의 유래와 전승 과정이 명확하고 조선 후기 공주 가례에 사용된 홍장삼의 무늬와 자수 기법, 직물 종류, 색상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사료로서 가치가 매우 높다. 다양한 문양과 장식 기법이 적용되었음에도 조형적으로 균형과 안정감이 있고 궁중 자수의 아름다운 도안과 색상, 고도의 자수 기술을 확인할 수 있어 공예적 가치 또한 크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