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소장품
소장품 안내
소장품 안내
의상
복건
幞巾
-
유물번호
궁중88 -
연대
20세기 -
재질
비단 -
크기(cm)
길이: 55cm, 너비: 20.5cm, 끈 길이: 76cm(우), 60cm(좌), 끈 너비: 5cm -
지정현황
국가민속문화유산
첨부파일 :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복건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직물로 만든 관모로서 남자아이가 썼으며 성인들도 심의(深衣)를 비롯하여 학창의(鶴氅衣) 등을 입을 때 쓰거나 갓 아래에 쓰기도 했다. 온폭의 직물을 사용해 만든다 하여 붙여진 명칭으로 ‘복(福)’에서 소리를 빌린 것이다. 반으로 접은 직물의 위를 막고 좌우에 끈을 달아 만든다. 어린이용은 금박(金箔)으로 각종 무늬를 입히거나 이마 부분에 옥이나 석웅황을 달아 장식하기도 한다. 어린 왕자는 사규삼(四䙆衫) · 전복(戰服) 등과 함께 복건을 착용한다.
이 복건은 왕자가 돌복에 착용했던 건으로 검은색 용문단 위에 금박을 올리고 보석으로 장식한 고급 복건이다. 정면 상부 중앙에는 감로수 병 속에 담긴 불로초와 "수복강녕(壽福康寧)"의 길상어를 부금하고, 감로수 병 밑에는 "희(囍)"를 조각한 비취를 부착했으며, 양쪽에 두 마리씩의 봉황을 부금했다. 정수리에서 5cm 내려온 지점에서 3cm 너비로 주름을 잡은 후 공그르기로 고정하였다. 그 위에 화문을 부금하고 또 그 위에 큰 진주 1개와 작은 산호 2개를 장식했다. 끈의 솔기방향은 착용했을 때 위쪽을 향할 수 있도록 주름 바로 아래 고정하였고, 오른쪽 끈의 위에는 "수복수복(壽福壽福)", 아래에는 "창송군자지절(蒼松君子之節)", 안쪽의 아래에는 "낙락장송하운(落落長松夏雲)"을 부금했으며 왼쪽 끈의 위에는 "복수복(福壽福)", "처처방초춘록(萋萋芳草春綠)", 안의 아래에는 "녹죽열녀지정(綠竹烈女之情)"을 부금했다. 후면 상부 중앙에는 학무늬를, 측면 좌측에는 "수복화풍감우서일상운(壽福和風甘雨瑞日祥雲)", 우측에는 "수복문심개수물아동춘(壽福門心皆水物我同春)"을 부금했다. 하부의 양쪽 모서리에는 각각 1개의 편복문(蝙蝠紋)과 불로초문을 부금했고, 그 사이에 "효제충신(孝悌忠信)"을 부금했다. 부금의 안단은 4cm 너비의 제물단으로 하여 공그르기를 하였다.
이 복건은 왕자가 돌복에 착용했던 건으로 검은색 용문단 위에 금박을 올리고 보석으로 장식한 고급 복건이다. 정면 상부 중앙에는 감로수 병 속에 담긴 불로초와 "수복강녕(壽福康寧)"의 길상어를 부금하고, 감로수 병 밑에는 "희(囍)"를 조각한 비취를 부착했으며, 양쪽에 두 마리씩의 봉황을 부금했다. 정수리에서 5cm 내려온 지점에서 3cm 너비로 주름을 잡은 후 공그르기로 고정하였다. 그 위에 화문을 부금하고 또 그 위에 큰 진주 1개와 작은 산호 2개를 장식했다. 끈의 솔기방향은 착용했을 때 위쪽을 향할 수 있도록 주름 바로 아래 고정하였고, 오른쪽 끈의 위에는 "수복수복(壽福壽福)", 아래에는 "창송군자지절(蒼松君子之節)", 안쪽의 아래에는 "낙락장송하운(落落長松夏雲)"을 부금했으며 왼쪽 끈의 위에는 "복수복(福壽福)", "처처방초춘록(萋萋芳草春綠)", 안의 아래에는 "녹죽열녀지정(綠竹烈女之情)"을 부금했다. 후면 상부 중앙에는 학무늬를, 측면 좌측에는 "수복화풍감우서일상운(壽福和風甘雨瑞日祥雲)", 우측에는 "수복문심개수물아동춘(壽福門心皆水物我同春)"을 부금했다. 하부의 양쪽 모서리에는 각각 1개의 편복문(蝙蝠紋)과 불로초문을 부금했고, 그 사이에 "효제충신(孝悌忠信)"을 부금했다. 부금의 안단은 4cm 너비의 제물단으로 하여 공그르기를 하였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