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조선왕조기록문화유산

조선왕조기록문화유산

선조실록(권1~권35)

宣祖實錄(卷一~卷三十五)

※해제

 

『선조실록』1567(선조 즉위년) 7월부터 1608(선조 41) 2월까지 선조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다. 221116책으로, 본 유물은 3515책의 영본(零本)이다.

 

이 책은 목록과 총서(總序), 본문 격의 실록이 차례대로 수록되어 있다. 목록에는 총 89권의 순서가 기록되어 있는데, 본 유물의 책차가 권차로 기록되어 있어 다소 상이하다. 본 유물의 15책은 권34~35, 1593[丁巳, 선조 26] 1,2월의 기사를 수록하고 있는데, 목록에는 이 부분이 15권으로 표기되어 있

.

 

총서에서는 선종 소경 정륜 입극 성덕 홍렬 지성 대의 격천 희운 현문 의무 성예 달효 대왕(宣宗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의 휘는 연()이다. 중종 공희 대왕의 손자이며, 덕흥 대원군(德興大院君) 이초(李岹)의 셋째 아드님이다. 모친은 하동부부인(河東府夫人) 정씨鄭氏)로 증 영의정 정세호(鄭世虎)의 따님이다. 가정(嘉靖) 31년 임자년 1111일 기축일에 인달방(仁達坊)의 사제(私第)에서 왕이 태어났다. 타고난 자질이 뛰어나고 기백과 도량이 영특하여 모두들 특이하게 여겼다. 처음에는 하성군(河城君)으로 책봉되었다. (중략) 상이 훙서한 지 9년째 되는 병진년(1616, 광해군 8) 에 지금의 상께서, 종계(宗系)를 올바르게 밝히고, 왕업을 중흥한 공로를 들어 계통 광헌 응도 융조(啓統光憲凝道隆祚)라는 존호를 추가해 올렸다. 묘호(廟號)선조(宣祖)‘라 하였다.” 고 하여 선조의 인적 사항과 선조라는 묘호를 얻기 까지의 과정을 기록하였다.

 

실록에는 선조가 즉위한 1567[丁卯] 7월부터 1593[癸巳] 2월까지의 기사가 수록되어 있어, 즉위 26년까지의 기록이 담겨 있다. 권차는 모두 좌측 난외(欄外), 간지는 우측 난상(欄上)에 기록해 주었다. 각 월의 일자와 기사에는 권점[]으로 구별해 주었다. 1592년의 임진왜란 전 기록들은 사초 소실 문제 등으로 기록된 부분이 적으며, 그 이후에는 보다 상세히 기록해 주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은 후에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을 편찬하는 데 계기로 작용하였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소장기호 : 27787) 등에도 다양한 책차의 실록이 소장되어 있다. 본관 소장본은 오대산사고본(五臺山史庫本)으로 조선 총독부에서 관리하다 1913년 일본으로 반출되어 동경제국대학에서 보관하던 것을 환수한 것이다. 국보 151-3호이며, 비록 15책의 영본이나, 타기관 소장 낙질본들과 더불어 다양한 판본을 연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목차

 

- 目錄

- 總序

- 實錄(1~35)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