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기록문화유산
정리의궤
整理儀軌
※ 해제
1795년(정조19)에 정조가 어머니 혜경궁 홍씨를 모시고 사도세자의 묘소인 현륭원(顯隆園)을 참배하고 화성 행궁에 행차하여 어머니 회갑 잔치를 치룬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1796년 3월 정리소(整理所)에서 활자본으로 의궤를 간행하였다.
정리소는 을묘년(1795) 원행을 준비하면서 설치한 기구이다. 담당자는 총리대신에 좌의정 채제공(蔡濟恭), 당상에 행좌참찬 정민시(鄭民始), 상호군 심이지(沈頤之), 행예조판서 민종현(閔鐘顯), 경기관찰사 서유방(徐有防), 호조판서 이시수(李時秀), 행호군 서용보(徐龍輔), 행호군 이만수(李晩秀), 행부호군 윤행임(尹行恁) 등이며, 낭청에 부사직 이시원(李始源), 부사과(副司果) 김근순(金近淳) 등이다.
본 의궤는 권수(卷首) 1책, 원편(元編) 5권 5책, 부편(附編) 4권 2책의 총 10권 8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수는‘택일(擇日)’,‘좌목(座目)’,‘도식(圖式)’으로 구성되어 있다. 택일은 행사의 주요한 날짜를 뽑은 것이다. 좌목은 담당자의 명단으로, 정리소 일을 맡은 이들의 명단과 의궤청 일을 맡은 이들의 명단을 각각 기록하였다. 정리소 좌목에는 총리대신 1인, 정리사 6인, 낭청 5인, 감관 2인, 장교 11인, 서리 16인, 서사 1인, 고직 3인, 사령 5인 등의 명단과 임명·파직일자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의궤청 좌목에는 총리대신 1인, 당상 8인, 낭청 2인, 감관 1인, 장교 9인, 서리 15인 등의 명단과 임명일·차출 기관 등이 기록되어 있다.
도식은 행궁 배치도와 행사의 주요 장면 그림과, 기물 도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식 뒤에 반차도가 실려 있다. 화성행궁도(華城行宮圖), 봉수당진찬도(奉壽堂進饌圖), 헌선도(獻仙桃) · 몽금척(夢金尺), 채화도(綵花圖), 기용도(器用圖), 복식도(服飾圖), 낙남헌양노연도(洛南軒養老宴圖), 알성도(謁聖圖), 방방도(放榜圖), 서장대성조도(西將臺城操圖), 득중정어사도(得中亭御射圖), 신풍루사미도(神豊樓賜米圖) 등이 실려 있다.
권1에는 전교(傳敎), 연설(筵說) 등 국왕의 명령이나 조정의 논의, 악장(樂章)·치사(致詞) 등 행사에 쓰인 각종 글들, 어제(御製), 어사(御射), 전령(傳令), 군령(軍令) 등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의주(儀註), 절목(節目), 계사(啓辭)를 실었다. 의주는 출궁과 환궁, 진찬, 양노연(養老宴), 화성(華城) 군사 사열 등 각 행사의 자세한 의식 절차를 기록한 것이다. 절목은 각 행사에 필요한 업무규정으로, 맨 마지막에 의궤사목(儀軌事目)이 실려 있다. 계사는 정순왕후와 혜경궁에게 진하하자는 빈청의 계청을 시작으로 원행의 주무기관인 정리소에서 올린 계사 등이 실려 있다.
권3에는 먼저 계목·장계 등 정리소와 각도 감사, 수원 유수 등이 행사 진행이나 정리곡(整理穀)과 관련하여 국왕에게 올린 보고를 싣고, 이어서 이문(移文)·내관(來關)·수본(手本)·감결(甘結) 등 정리소와 다른 기관 사이에 행사와 정리곡 관련으로 주고받은 공문을 실었다.
권4에는 주로 물품과 설비 내역을 실었다. 먼저 찬품·기용(器用)·배설(排設)·의장 등 행사에 쓰인 물품을 기록하고, 이어서 반전(盤纏)이란 항목 아래 내외빈을 비롯하여 행차를 따른 관원·이예(吏隸)·군병에게 지급한 노잣돈 액수를 기록하였다. 노잣돈으로 총 1만4천2백10냥 9전 4푼과 면포 18필이 지출되었다.
권5에는 내외빈·참연노인(參宴老人)·배종(陪從)·유도(留都)·공령(工伶)·당마(塘馬)·방목(榜目)·상전(賞典) 등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행사에 참여한 인물들의 이름 및 숫자를 싣고, 마지막에 재용(財用)을 실었다. 내외빈으로는 혜경궁의 동성(同姓) 8촌, 이성(異性) 6촌 이상의 친척이 참여하였다. 참연노인은 영의政 홍낙성(洪樂性)을 비롯한 수행 신하 중 노인들과 수원부 노인을 구별하여 기록하였다. 배종은 왕의 행차를 수행한, 각사(各司)·각영(各營)·경기감영(京畿監營)의 관원·원역·군병의 이름과 숫자를 기록한 것이다. 유도(留都)는 왕의 행차를 배종하지 않고 서울과 각 임지에 머물며 업무를 수행한 관원·군병의 명단과 숫자이다. 공령(工伶)은 악무(樂舞)에 참여한 악사·악공·악생·기생·여령 등의 명단을 기록한 것이고, 당마(塘馬)는 척후병을 기록한 것이다. 방목에는 문무과 별시 합격자 명단과 지난 을묘년에 과거에 합격했던 사람들의 이름과 그 자손 명단을 수록하였다. 상전은 시상 내역이다. 재용에는 이번 행사에 조달한 재정과 지출 내역을 수록하였다. 재정으로 진청(賑廳)에서 10만3천61냥 8전을 가져왔고, 기타 면포 50동(同) 33필여, 포(布) 8동 45필(疋)여, 주(紬) 3동, 미(米) 75석 2두(斗)여를 조달하였다.
부편은 원행을 전후한 왕실의 주요 행사에 대하여 각각 전교에서 상전에 이르기까지 제반 기록을 담은 네 편의 독립된 의궤들로 구성되었다. 부편 1 탄신경하(誕辰慶賀)는 1795년 6월 18일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올린 행사에 대한 기록이다. 부편 2 경모궁전배(景慕宮展拜)는 같은 해 1월 21일 사도세자의 회갑을 맞이하여 정조가 그 사당에 참배한 기록을 담았다. 부편 3 영흥본궁제향(永興本宮躋享)은 태조의 아버지 환조의 탄신 8회갑을 맞이하여 판중추부사 김희를 보내 행한 작헌례에 대한 기록이다. 부편 4 온궁기적(溫宮紀蹟)은 1760년 사도세자가 충청도 온양의 온천 행궁에 행차하고 영괴대(靈塊臺)를 세운 사적을 기념하기 위해 1796년 정조가 영괴대비를 세운데 대한 기록이다.
본서는 최초의 활자본 의궤이다. 의궤는 보통 보관용과 참고용으로 몇 건만 제작하므로 필사하여 간행하지만, 이번에는 많은 건을 제작하기 위해 금속활자로 인쇄하였다.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의 탄신 60년을 맞이하여 치른 이번 행사는 그동안 정조가 추진해온 사도세자 존숭 정책을 일단락하고 국왕의 권위를 온 나라에 과시하는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그런 만큼 의궤도 널리 유포하기 위해 많은 건을 제작하였다.
이번 행차에는 혜경궁 홍씨가 참여하였기 때문에 본 의궤는 왕실 여성의 궁궐 밖 행차에 대한 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일대 장관을 이룬 국왕 행차 반차도를 비롯하여 행사의 장면 장면을 묘사한 판화는 여러 의식의 구체적 모습을 알려준다. 또 이번 행사에는 내외빈, 연회에 초대된 노인들, 국왕을 수행한 관원·군병, 악공·기생·여령(女伶) 등 많은 인물이 참여하여 인물에 관한 정보가 매우 풍부하다. 10여만 냥에 이르는 재정의 조달과 지출의 내역은 당시의 국가재정과 경제활동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 목차
1책: 整理儀軌 卷首
園行乙卯整理儀軌摠目, 園行乙卯整理儀軌 卷首: 擇日(各項日子), 座目([整理所座目], [儀軌廳座目]), [圖式](華城行宮圖, 奉壽堂進饌圖, 綵花圖, 器用圖, 服飾圖, 洛南軒養老宴圖, 謁聖圖, 放榜圖, 西將臺城操圖, 得中亭御射圖, 神豊樓賜米圖, 駕轎圖, 舟橋圖, 班次圖, 延禧堂進饌圖, 弘化門賜米圖)
2책: 整理儀軌一
園行乙卯整理儀軌 卷之一: 目錄, 傳敎, 筵說, 樂章, 致詞, 御製, 御射, 傳令, 軍令(附嚴時刻操令)
3책: 整理儀軌 二
園行乙卯整理儀軌 卷之二: 目錄, 儀註(附操式), 節目, 啓辭
4책: 整理儀軌 三
園行乙卯整理儀軌 卷之三: 目錄, 啓目, 狀啓, 移文, 來關, 手本, 甘結
5책: 整理儀軌 四
園行乙卯整理儀軌 卷之四: 目錄, 饌品, 綵花, 器用, 排設, 儀仗, 盤纏, 掌標, 駕轎, 舟橋, 司僕定例
6책: 整理儀軌 五
園行乙卯整理儀軌 卷之五: 目錄, 內外賓, 參宴老人, 陪從, 留都(附守宮留陣留營留駐), 工伶, 塘馬(附斥候伏兵), 榜目, 賞典, 財用
7책: 整理儀軌 附編一
園行乙卯整理儀軌 附編一 誕辰慶賀: 目錄, 傳敎, 筵說, 樂章(附詩), 致詞, 箋文, 儀註, 節目, 啓辭(附啓目), 饌品, 綵花, 器用, 排設, 內外賓, 進饌時堂郞員役, 賞典
園行乙卯整理儀軌 附編二: 景慕宮展拜: 目錄, 傳敎, 筵說, 儀註, 節目, 啓辭, 賞典
8책: 園行乙卯整理儀軌 附編二
園行乙卯整理儀軌 附編三 永興本宮躋享: 目錄, 傳敎, 筵說, 御製, 頒敎文, 儀註, 啓辭(附上疏), 狀啓
園行乙卯整理儀軌 附編四 溫宮紀蹟: 目錄, 傳敎, 筵說, 御製, 啓辭, 狀啓, 賞典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