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소장품 소장품 이야기 수장고 속 왕실 유물 이야기

수장고 속 왕실 유물 이야기

사진기 앞에 선 고종

사진기 앞에 선 고종

사진기 앞에 선 고종

조선 말, 열강의 틈바구니에서 쇄국정책을 펼쳐왔던 흥선대원군이 물러나고, 1873년 친정을 시작한 고종은 나라의 정통성 확보와 존속을 위해 고심하게 됩니다. 이를 위해 안으로는 왕실의 진전과 어진의 재정비 작업을 명하여 태조 및 열성조의 어진을 제작하고, 자신의 어진과 황태자인 순종의 어진도 제작합니다. 또한, 고종은 근대적 개혁을 주장하는 개화파와 함께 조선의 문호를 개방하고 1897년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자주 독립국임을 만천하에 알립니다. 일본을 시작으로 미국, 영국 등 세계 각국과 조약을 맺고, 국외사절단을 보내 선진국의 제도와 문물을 배우게 했습니다. 이 시기 고종은 사진에 대해 알게 되었을 것입니다.

고종이 최초로 초상 사진을 찍은 것은 1880년대 전후로 추정됩니다. 보스턴 미술관Boston Museum of Fine Arts에 소장되어 있는 고종의 초상 사진은 1884년 미국의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이 촬영한 사진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윤치호 일기』 1884년 3월 10일과 13일자에 의하면 퍼시벌 로웰Percival Lowell과 지운영이 고종 및 왕세자의 사진을 촬영했다는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고종과 원로대신

그러나 사진을 나라의 독립과 개화에 이용했던 고종의 계획은 오래지 않아 무산되고 맙니다. 1907년 강제 퇴위 이후 일본은, 고종과 황실 관련 사진을 식민지 정책의 일환으로 활용한 것입니다. 사진의 촬영과 관리가 일본의 주도하에 이루어지면서 인쇄물과 각종신문에 실리는 고종과 순종의 초상 사진, 그리고 황실의 사진들은 상대적으로 조선의 이미지를 왜곡하는데 활용됩니다. 일본의 황태자와 찍은 사진에서 자세나 위치를 일본인이 더 부각되게 촬영한다던가, 영친왕과 이완용내각의 단체사진에서 오른쪽 한편의 고종을 의도적으로 지워서 인쇄물에 싣는다던가 하는 행태입니다. (본문에 실린 사진은 보존상태가 좋지 않아 고종의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경우이지만, 「한미정변사」 내에 실린 사진에서는 의도적으로 고종의 이미지를 지운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본은 황실뿐만 아니라 대한제국 내의 일상적인 풍경과 일반 국민들의 사진을 자신들의 의도대로 편집하고 여러 매체를 통해 공개하며 대외적인 조선의 이미지를 조작했습니다.

순종황제와 일본황태자

고종은 1919년 1월 21일 붕어했습니다. 고종의 국장의식은 일본식 장례절차에 의해 진행되었고, 그 모습은 『덕수궁 국장 화첩(德壽宮 國葬 畵帖)』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처음 사진기 앞에 나선 조선의 국왕이자 자주독립을 위해 노력한 황제 고종, 나라를 위한 외교적 교류에 자신의 모습을 활용하고 드러내는데 앞장섰던 고종, 그러나 시대적 상황은 고종을 뒤안길로 밀어내고, 사진 속의 모습처럼 먼발치의 쓸쓸한 모습으로 남겼습니다.

처음 사진기 앞에 선 고종은 어떤 마음이었을까요? 선대로부터 이어져오던 숨겨진 왕의 모습을 드러낼 만큼 나라를 생각하는 고종의 마음은 절실했을 것입니다. 


덕수궁 국장 화첩(德壽宮 國葬 畵帖)



정희원 (유물과학과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