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실문화기획총서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분류
왕실문화기획총서
-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
페이지수
355p
-
도서가격
-
-
발행년도
2014년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pdf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왕실문화 기획총서를 펴내며 _04
제1장 조선의 종묘, 그 의미와 상징 _11
천명을 계승하는 천지와의 소통 강제훈(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제2장 국왕이 승하 후에 받는 이름, 종묘의 묘호 _41
조선시대 국왕의 묘호는 어떻게 붙였을까 정종수(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제3장 국왕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잣대, 종묘의 세실 _67
조선시대 종묘의 세실 논의와 결정 방식 이현진(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제4장 종묘 의례를 그리고 기록해 후일의 지침으로 삼다 _105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의 내용과 회화적 특징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제5장 영ㆍ정조대 변화된 종묘제의가 표현되다 _149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에 보이는 제사 의식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객원교수)
제6장 종묘제례에 정성스럽게 마련한 제찬을 진설하다 _181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에 보이는 제수 김상보(대전보건대학교 전통조리과 교수)
제7장 복식, 위계와 위의를 대변하다 _213
의례와 신분에 따라 달랐던 종묘제례의 복식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연구실 연구원)
제8장 종묘 제사의 주악 장면과 그 기록 _259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제7첩〈오향친제반차도〉를 중심으로 송혜진(숙명대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제9장 시기에 따라 변화된 종묘의 여러 건축물들 _293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을 통해 본 종묘 건축 남호현(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주註 _342
참고문헌 _354
** 본문 중 일부만 온라인으로 서비스 합니다.
제1장 조선의 종묘, 그 의미와 상징 _11
천명을 계승하는 천지와의 소통 강제훈(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제2장 국왕이 승하 후에 받는 이름, 종묘의 묘호 _41
조선시대 국왕의 묘호는 어떻게 붙였을까 정종수(전 국립고궁박물관장)
제3장 국왕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잣대, 종묘의 세실 _67
조선시대 종묘의 세실 논의와 결정 방식 이현진(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연구교수)
제4장 종묘 의례를 그리고 기록해 후일의 지침으로 삼다 _105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의 내용과 회화적 특징 박정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제5장 영ㆍ정조대 변화된 종묘제의가 표현되다 _149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에 보이는 제사 의식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객원교수)
제6장 종묘제례에 정성스럽게 마련한 제찬을 진설하다 _181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에 보이는 제수 김상보(대전보건대학교 전통조리과 교수)
제7장 복식, 위계와 위의를 대변하다 _213
의례와 신분에 따라 달랐던 종묘제례의 복식 이민주(한국학중앙연구원 국학연구실 연구원)
제8장 종묘 제사의 주악 장면과 그 기록 _259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제7첩〈오향친제반차도〉를 중심으로 송혜진(숙명대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제9장 시기에 따라 변화된 종묘의 여러 건축물들 _293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을 통해 본 종묘 건축 남호현(순천대학교 건축학부 교수)
주註 _342
참고문헌 _354
** 본문 중 일부만 온라인으로 서비스 합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