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 세미나 자료
동아시아 왕실문화와 미술 자료집
-
분류
학술세미나자료
-
발행기관
고궁박물관
-
페이지수
352p
-
도서가격
-
-
발행년도
2025년
-
동아시아 왕실문화와 미술 자료집.pdf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제1부 | 왕실과 공예: 의례와 물질문화
청궁 백십건(百什件) : 집경조갑(集瓊藻匣)을 사례로
위페이친(타이베이국립고궁박물원)
15~16세기 조선왕실의 태항아리
백은경(국립고궁박물관)
제2부 | 왕실과 초상화: 공간과 기능
류큐 국왕의 초상화(오고에)에 그려진 궁정의례와 그 변천
히라카와 노부유키(오키나와현립박물관·미술관)
조선 후기 어진과 봉안 공간의 다각적 기능과 함의
손명희(국립문화유산연구원)
지방 화원에서 어진 화사로: 1900년 채용신의 어진 도사를 중심으로
민길홍(문화체육관광부)
제3부 | 왕실과 보물: 소장과 제도
천상의 궁전: 쇼소인 보물과 쇼무 천황의 “사랑받은 물건들”
유키오 리핏(하버드대학교)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일본 궁정의 물질문화
이노쿠마 가네키(도쿄국립박물관)
시공을 초월한 응시: 청 고종 황제의 원형 소상(小像)과 수장의 정치
치우스화(타이베이국립고궁박물원)
제4부 | 왕실과 종친: 혈통과 기록
조선왕실 혈통의 다양성
김선주(하버드대학교)
조선 후기 종친(宗親)의 문화적 기반과 왕실 후원: 서평군 이요(西平君 李橈)를 중심으로
황정연(한국학중앙연구원)
제5부 | 왕실과 불교: 신앙과 후원
장안의 칠보대(七寶臺)는 어떤 모습이었을까?
유진왕(하버드대학교)
조선 왕실 사찰 자수사, 인수사의 불상과 불화 조성
송은석(동국대학교)
제6부 | 통치자들의 건축: 상상과 재현
응우옌 왕조 왕릉: 건축 예술과 경관 가치
쩐 득 아인썬(동아대학교, 베트남)
기억의 궁전: 근세 에마키에 나타난 건축과 의례
멜리사 맥코르믹(하버드대학교)
다이묘 문화의 미적 결정체: 정원화를 통한 에도 회화의 혁명 — 호소카와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노다 아사미(고베대학교)
제7부 | 왕실과 회화: 교류와 전파
‘풍류천자’ 휘종 회화의 이미지 형성과 동아시아 전파
이타쿠라 마사아키(도쿄대학교)
동아시아 관점에서 본 조선초기 궁중회화: 일본 소재 안견의 작품과 전칭작
서윤정(명지대학교)
채색과 수묵: 동아시아 궁정회화의 규범과 변용
츠카모토 마로미츠(도쿄대학교)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