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통합예약

고궁문화

고궁문화 13호

고궁문화 13호

  • 분류

    고궁문화

  • 발행기관

    국립고궁박물관

  • 페이지수

    166P

  • 도서가격

    -

  • 발행년도

    2020년

  • 01_19~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_전나나.pdf

    미리보기
  • 02_18세기 조선왕실 화장용 자기의 특징과 수용 과정_화협옹주묘 출토품을 중심으로_곽희원.pdf

    미리보기
  • 03_환수된 대군주보와 개화기의 국새 어새 제도_박성호.pdf

    미리보기
  • 04_1705년 금보개수도감에서 제작한 금보 보자기의 소재와 문양에 관한 고찰_이은주 진덕순.pdf

    미리보기
  • 05_강화행궁의 건립과 공간구성_강화부궁전고와 강화부궁전도를 중심으로_김선희.pdf

    미리보기
  • 06_정묘조왕세자책례계병 연구_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요지연도를 중심으로_박본수.pdf

    미리보기
  • 13호_전체.pdf

    미리보기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국립고궁박물관이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 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일반 논문]

전나나
19~20세기 궁궐 정전의 용향로에 관한 고찰......... 7
A Study on the Throne Hall Dragon Incense Burners at the Royal and Imperial Palaces of Joseon and Daeha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곽희원
18세기 조선왕실 화장용 자기의 특징과 수용 과정 : <화협옹주묘 출토품>을 중심으로.........31
The Characteristics of Porcelain Cosmetics Containers and Their Acceptance at the 18th-century Joseon Royal Court

박성호
환수된 대군주보와 개화기의 국새 어새 제도.........63
Retrieved Dae-gun-ju-bo and the Seal of State and the Seal of King System  in the Korean Enlightenment Period

이은주, 진덕순
1705년 금보개수도감에서 제작한 금보 보자기의 소재와 문양에 관한 고찰.........81
The Materials and Patterns of the Wrapping Cloths Made by the Directorate for the Restoration of the Golden Royal Seals in 1705

김선희
강화행궁江華行宮의 건립과 공간구성 : 『강화부궁전고』와 《강화부궁전도》를 중심으로.........111
The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of Space of Ganghwa-Haenggung : Focused on 『Ganghwabugungjeonko[江華府宮殿考]』 and 《Ganghwabugungjeondo[江華府宮殿圖]》

박본수 
《정묘조왕세자책례계병正廟朝王世子冊禮?屛》 연구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요지연도를 중심으로.........137
A Study on Folding-Screen Paintings of the Royal Investiture Ceremony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 Focusing on Yojiyeondo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관련정보